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겹받침교육 방안 연구

2017-10-20 07:36黄黎韩国仁荷大学
韩国语教学与研究 2017年4期
关键词:收音韩国语关键字

| 黄黎 明| [ 韩国] 仁荷大学|

[关键字] 双收音; 国 内大学教材; 韩国大学教材; 教材分析; 教育方案

1.서론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많이 나타나는 발음 오류 중의 하나가 받침 발음이다 .특히 겹받침 발음에서 학습자들이 자주 오류를 범하는데 중국어에는 받침 현상이없기 때문이다 .특히 겹받침을 발음할 때 받침 두 개 중에 어떤 것으로 발음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하여 본 연구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정확한 받침 발음에 도움을 주려는데 목적을 두고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 3권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 3권을 대조 분석하여현재 받침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겹받침을더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받침의 정의 및 표준 발음법

‘자 음( C)+ 모음( V)+자 음( C)’의 구성으로 된음절에서 모음 글자 아래에 받쳐 적는 자음을받침이라고 한다.

받침을 홑받침과 겹받침으로 나눈다.받침에 자음이 한 개 쓰인 것을 홑받침이라 하고자음이 두 개 쓰인 것을 겹받침이라 한다.즉‘북 , 봄 , 맛 ’등 단어에서 ‘ㄱ, ㅁ, ㅅ’은 홑받침이고 ‘흙 , 넋’에 서 ‘ㄺ , ㄳ’은 겹받침이다.

받침의 표준 발음법은 아래 <표 1>과 같다.

< 표 1>표준 발음법

3.겹받침의 교육 실태 및 교육방안

현재 중국에서 쓰고 있는 교재와 한국에서쓰고 있는 교재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어 겹받침 교육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분석의 기준은아래와 같다.

3.1 교재 선정 및 분석 기준

본고에서는 현재 한국 언어교육기관과 중국국내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표 2>교재 분석 대상

교재 분석의 기준은 아래 <표 3>과 같다.

<표 3>교재 분석 기준

3.2 중국에서 편찬된 교재 분석

『大学韩国语』에서 받침에 대한 제시 방법은 아래와 같다.

『标准韩国语』에서 받침에 대한 제시 방법은 아래와 같다.

『大学韩国语』에서는 홑받침과 겹받침을 같 이 설명한 반면 『标准韩国语』에서는 겹받침을2개 과문으로 나눠서 설명했다 .설명의 순서는 우선 받침의 발음 방법을 하나씩 설명한후에 받침의 쓰기 방법을 설명하고 이어서 단어와 연습 문제를 제시하였다.

연습 활동부분을 정리하면 아래 <표 5>와같다.

<표 5>중국에서 출판된 교재의 받침활동 유형

< 표 5>를 분석해 보면 중국에서 출판된겹받침 활동 유형은 들어 보기 ,읽어 보기,듣고 따라 읽기에 중점을 두고 제시하였다.게임을 통해 받침을 연습하기와 그림을 보고읽어 보기 ,듣고 맞는 것을 고르기 등 활동은거의 없었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와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를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는 제시 부분이풍부한 편이지만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는 받침에 관한 설명이 너무 부족하였다.

둘째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의 활동 유형은천편일률적인 반면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의활동 유형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편이다.

셋째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와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를 보면 학습자들이 단시간에 받침에 대해 빠르게 습득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3.3 받침의 교육 방안

중국어의 한국어 문법의 교육 현장을 살펴보면 대부분 문법에 대한 설명과 문법의 제시를 가장 중요시하고 사용 단계를 자주 생략하며 연습 단계와 일체화하여 수업을 진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PPP모형을기본으로 하고 ‘제시 ―연습 ―생산 ―마무리 ’단계로 나누어 한국어 받침의 교육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4.결론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받침을 정확하게발음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본 연구는받침의 개념과 종류를 제시하고 표준 발음법에서 받침의 발음 규칙을 설명하였다.이어서지금 중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와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비교 분석하였다.부족점을 제시하고 마지막 부분에서 제시―연습 ―생 산 ―마무리 모형을 이용하여 받침에 대해 교육 방안을 검토하였다.

참고문헌

[1]고영근,구본관,『우리말 문법론』, 서울 :집문당,2009.

[2]김정숙,『외국어를 위한 한국어 문법 1』,서울 :케뮤니케이션북스,2005.

[3]박덕유,『한국어학의 이해』 , 서울 :한국문화사,2016.

[4]박덕유,『학교문법론의 이해』 , 서울 :도서출판 역락,2016.

[5]김현숙,「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겹받침 발음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1.

[6]박시균 , 최경복,「중국인 학습자의 겹받침오류 분석: 겹받침 앞, 뒤 자음 선택의 오류를중심으로」,『언어학』, 대한언어학회,2014.

[7]비강강,「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겹받침 발음 교육 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0.

[8]서영,「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자음 발음 교육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석사학위논문,2011.

[9]신숙녕,「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받침 교육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4.

[10]이향,「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재개발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2.

猜你喜欢
收音韩国语关键字
履职尽责求实效 真抓实干勇作为——十个关键字,盘点江苏统战的2021
韩国语“容入-离析”关系表达及认知语义解释
韩国语不完全词特征探析
实车收音效果测试与优化方法
韩国语初学阶段双收音教学方案考察
成功避开“关键字”
韩国语 "V+ " 与汉语"V+死了"对比研究
韩国语中的敬语表达方式总结
海螺
静音钻